설탕 대용 천연 감미료 종류 10개

설탕 대용 천연 감미료 에 대해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음식을 만들고 디저트를 만들때 설탕을 넣고싶지만 건강에 대한 걱정때문에 설탕넣기가 꺼려지고 단맛은 먹고 싶을때 설탕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 감미료가 있다는 사실을 참고 하시기 바라겠습니다. 건강도 지키고 단맛도 낼수 있는 설탕 대용 천연 감미료 종류 그리고 장점에 대해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의 내용


감미료 구분

단맛을 내는 감미료는 천염감미료와 대체 감미료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건강 을 생각하게 되면서 천연감미료이지만 설탕 대용 천연 감미료 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오늘 확인해볼 내용은 대체 감미료 중에서도 설탕대신 사용할 수 있는 건강한 닷맛 천연 감미료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천연 감미료 장점

과도한 설탕의 섭취는 비만과 심장 질환, 당뇨 등 다양한 질병을 일으킬수 있는 문제로 야기되고 있스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우리가 너무 많이 먹는 설탕에 대해서 경고를 하기도 하고, 설탕의 대체제를 찾습니다. 인공감미료가 미치는 질병들로 인해서 천연 감미료에 대해서 점점 인식이 나빠지면서 식물에서 나오는 당성분으로 만드는 천연 감미료에 대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설탕 대용 천연 감미료 소개

스테비아

설탕 대용 천연 감미료 로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것이 스테비아 입니다. 스테비아는 단맛을 내는 허브의 종류 입니다. 설탕초라고 불리는 스테비아에 대해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테비아 자라는 환경

스테비아는 하천 혹은 습지대 주변에서 자라나는 식물 입니다. 스테비아의 별명은 설탕초로 설탕보다 200배의 높은 단맛을 내지만 칼로리는 매우 낮기 때문에 설탕 대체로 매우 인기가 있는 식물중 하나 입니다. 거기다가 스테비아는 텃밭에서도 쉽게 키울수 있기 때문에 집에서 직접 길른 스테비아로 천연 감미료를 맛볼수도 있습니다. 특히나 당뇨 환자에게 인기가 있는 천연 감미료 입니다. 최근에는 이 스테비아를 가지고 식물에 적용하여 조금더 단맛이 많이 나는 과일을 출시를 많이 하기도 합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중 하나는 스테비아 토마토 인것 같습니다.

알룰로스

희귀설탕 이라고 하는 알룰로스는 설탕을 대체하는 감미료종 하나 입니다. 알룰로스는 적은 칼로리 그리고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잇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알룰로스의 대부분은 몸에 흡수되지 않고 소변으로 빠져나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대표적인 칼로리가 적은 저칼로리 단맛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알룰로스의 다른말은 사이코스 ( D-psicose) 라고도 불립니다. 밀이나 건포도, 무화과 등의 일부 식물에 존재하는 당류 입니다. 대부분은 알룰로스를 먹어도 무방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너무 많이 섭취를 하게 되면 소화가 불편해 지는 문제를 야기한다고 발혀지기도 하였습니다.

타가토스

타가토스는 조금 논란의 여자기 있는 천연 당 입니다. 이유는 최근 FDA 에서 타가토스를 ‘첨가당’ 이라고 표기를 해야 한다는 발표를 했기 때문 입니다. 하지만 식품 제조 업체 등 관련 업계의 사람들은 천연 감미료이면서 설탕맛과 비슷하며 열량이 낮기 때문에 첨가당에서 제외해달라는 요청들이 계속 있기 때문 입니다.

타카토스는 과일, 우유, 치즈, 카카오열매 등에 있는 천연 감미료종 하나 입니다. 설탕과 비슷한 단맛을 내며 향도 설탕과 비슷하기 때문에 천연 감미료중 하나로 매우 각광받고 있는 감미료중 하나 입니다. 거기다가 혈당 조절에도 안정성을 인정 받은 가밈료중 하나 입니다.

몽크프룻

몽크프롯은 여전히 국내에서는 생소한 과일 입니다. 중국에서는 오래전부터 병을 치료하는 약재로 쓰여왔다고 합니다. 설탕보다는 100배 이상의 강한 단맛을 내지만 칼로리는 없는 것이 특징인 몽크크풋은 정제된 설탕과는 달리 달류가 없기 때문에 칼로리가 없고 몸에 흡수되는 것이 없는 것이 특징 입니다. 이로인해 당뇨병이 있는 환자들에게 단맛대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천연 감미료 입니다. 하지만 몽크프롯에 있는 특별한 향과 맛때문에 호불호가 갈릴수 있는 점도 참고 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자일로스

자일로스는 자연상태에서 존재하는 당의 일종으로 자작나무, 단풍나무 등에서 추출해 내는 당분으로 나무에서 처음 분리된 단맛이 나는 당이라 목재당 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자일로스는 설탕보다는 조금덜 단맛을 내지만 열량은 없을 뿐만 아니라 몸밖으로 바로 배출되기 때문에 천연 감미료중 대중적으로 마트에서 쉽게 볼수 있는 당중 하나 입니다. 최근에는 과일정을 담거나 하는 용도로도 많이 구입을 하여 이용하기도 합니다.

아가베 시럽

마트에 가서도 많이볼수 있는 아가베 시럽은 맥시코가 원산지인 용설란의 잎에서 추출해낸 시럽입니다.

꿀은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우리 일상생활에 많이 사용하는 단맛이 나는 천연 감미료 중 하나일것 같습니다. 설탕 한스푼의 단맛은 꿀의 티스푼 한잔과 비슷합니다. 하늘에서 내리는 이슬이라고 불릴만큼 귀중한 가치가 있는 꿀 입니다. 꿀은 설탕보다 덜 가공이 되어 상품으로 출시 되기 때문에 꿀에는 여전히 비타민, 단백질 미네랄이 풍부합니다. 거기다가 꿀에는 항균과 항박테리아의 성분이 있기 때문이 감기에 걸렸을때 꿀물을 먹기도 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꿀에도 향기가 있고 체질에 따라서 맞지 않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 먹는 것이 좋겠습니다.

메이플 시럽

메이플 시럽은 단풍나무에서 얻는 수액 입니다. 최근에는 메이플 시럽을 이용한 과자도 많이 나올 정도로 대중화가 많이 된 설탕 대신 사용하는 감미료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달콤한 맛이 나면서 특유의 향이 있는 메이플 시럽은 커피에 넣는 단맛과도 잘 어울리고 팬 케이크에도 매우 잘 어울립니다. 메이플 시럽의 품질과 그레이드에 따라서 가격이 천차 만별이며, 설당과 섞여서 나와서 판매되는 것들도 많이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메이플 시럽 주의점

  • 곰팡이가 잘 피기 때문에 대용량으로 구입하지 않습니다.
  • 설탕과 섞어 파는 상품이 많이 있기 때문에 잘 구분하여 구입합니다.

대추야자

대추야자는 아직 우리나라에는 익숙하지 않은 과일중 하나 입니다. 달고 끈적이는 특징이 있는 열매는 중동지방에서 길고긴 금식이 끝나고 난 다음 열량을 채우기 위해 먹는 과중 하나라고 합니다. 대추 야자에는 칼륨, 망간, 마그네숨 구리 칼륨, 비타민 등의 영양소와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과자나 간식 대신에 먹는 것으로도 매우 좋습니다.

코코넛 슈가

코코넛슈가는 코코넛 꽃봉오리에 담긴 진액을 정재하여 만들어 내는 천연 감미료중 하나 입니다. 코코넛 진액을 잘 정제하여 설탕과 같이 고운 입자로 만들어 시중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코코넛 슈가에는 미네랄, 아연, 철분 등이 풍부하게 들어있다고 알려져 있어서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설탕 대용 천연 감미료 중 하나 입니다.

코코넛슈가는 설탕보다 조금덜 정재하여 코코넛에 있는 단맛을 내는 것을 뽑아 단맛을 내는 것 입니다. 실제로는 설탕과 칼로리가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먹는 양을 조절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니 주의하여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칼륨 성분이 상대적으로 많이 들어 있기 때문에 신장이 좋지 않은 사람들 혹은 신장 질환을 알혹 있는 환자들은 특별히 주의하여 먹어야 하는 천연 감미료중 하나 입니다.

천연 감미료 주의사항

천연 감미료라고 설탕보다 몸에 좋겠지 라는 생각으로 막 먹으면 오산 입니다. 예를 들어서 아가베 시럽은 설탕과 비슷한 칼로리를 갖기 때문에 먹는 양을 조절해야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천연 감미료라고 해서 구입을 했는데 100% 천연 감미료가 아니라 설탕이 매우 많이 첨가된 감미료 일수도 있습니다. 최근에 꿀도 벌들에게 설탕을 먹여 꿀을 채취하는 사양 꿀도 많으니 천연 감미료도 주의해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 단 음식에 길들여진 식습관을 바꾸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