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환급금 조회 방법 확인

자동차 환급금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자동차 환급금 조회를 확인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글의 내용

차를 구입하였다면 자치단체에 자동차를 등록 할때 자동차를 구입한 사람은 의무적으로 ‘지역개발채권’ 이라는 것을 매입하게 됩니다. 이 이역개발채권은 지역사회의 구성원들을의 복리 증진과 지역사회의 개발을 위해서 사용하기 위한 자금을 사용하기 위해서 각 자자체가 발행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구입한 자동차의 배기량과 등록을 어느 지역에서 하느냐에 따라서도 채권 종류와 비율이 달라지게 되어 있습니다.

채권을 매입후 5년이 지나면 찾을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채권 보유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혹은 금융기관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대부분이 찾아가지 않고 있는 것이 실정 입니다.

매입 후 5년인 상환 개시일로부터 원금은 10년, 이자는 5년이라는 소멸시효가 발생하여 사라지는 채권의 금액도 어마어마 합니다.

자동차 미환급금

이렇게 채권이 쌓여가고 찾아가지 않게 되어 정부에서는 조금더 쉽게 채권을 환급 받을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자동차 환급금 (자동차 채권 정의)

자동차 채권은 자동차를 등록할때 매입하는 공채를 의미 합니다.

자동차를 구입하게 되면 지방자치단체에 자동차를 등록할때 의무적으로 지역개발 채권을 매입하게 되어 있고 이것을 간단하게 자동차 채권이라고 합니다.

지역마다 다른 자동차 채권

따라서 자동차 채권은 지역개발채권이므로 지역민의 복리 증진과 지역개발 사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지역에서 등록하느냐에 따라서 채권 종류와 비율이 달라지게 됩니다.

  • 도시철도채권 : 서울, 부산, 대구 는 도시철도채권을 매입 합니다.
  • 지역개발채권 : 그 외 지역은 지역개발채권을 매입 합니다.

지역별로 재역개발채권을 한시적으로 면제하기도 합니다.

자동차의 종류, 신규 등록에 따라 다른 자동차 채권

자가용인지 사업용인지에 따라서도 채권의 금액과 비율이 다르며 신규 등록과 이전 등록 매입 기준이 다릅니다.

채권은 자동차의 배기량에 따라서도 달라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서울에 경우에는 2000cc 차량을 구입하게 되면 자동차 금액의 20%를 채권으로 매입해야 합니다.

자동차 환급금 방법

행정안전부는 채권을 쉽게 환급 받을수 있도록 절차를 쉽게 개선 하였습니다. 직접 금융기관을 방문하지 않고 간단하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채권 환급을 받을수 있게 시스템이 개선 되었습니다.

은행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고 우측 하단의 전체메뉴에서 공과금 -> 공채업무이동 으로 채권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자동차 환급금 신청 (자동차 채권 환급 신청)

채권은 거치 기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 이후에는 상환을 받을수 있습니다. 서울은 7년, 그외의 지역은 5년이 지나면 채권을 상환받을 수 있습니다.

환급 시기는 채권을 매입한 후 5-7년 뒤로 이자 소득세가 더해진 금액을 환급해 줍니다. 하지만 아직 많은 사람들이 환급금 신청을 잊어버리고 혹은 채권 구입 여부를 몰라서 환급을 못받고 있으며 이렇게 쌓여있는 채권의 미환급금은 약 2,300억원이 된다고 합니다.

채권 환금 신청 시간

영업일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 사이에 조회가 가능 합니다.

자동차 채권 미환급금 신청 은행

자동차 환급금 신청은 지역마다 환급금을 신청 할 수 있는 은행이 다르기 때문에 미리 확인을 하고 신청 해야 합니다.

자동차 미환급금

주의 사항

자동차를 구입할때 즉시 매도를 선택 하였다면 찾을수 있는 금액은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동차 등록을 하면서 부담스러운 채권 가격과 상환일에 제대로 찾을수 없을것 같은 생각으로 즉시매도를 선택하게 됩니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경기도는 약 70%, 인천은 86% 가 즉시 매도를 선택 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즉시 매도를 선택하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에서 보유 중인 채권이 없습니다. 라는 문구를 확인 할 수 있게 되고 이 이야기는 채권이 없기 때문에 환급 받을수 있는 돈도 없다는 뜻이 됩니다.

채권 만료일을 인지 하지 못할것 같은 걱정으로 채권 즉시 매도를 선택 하게 되는 시스템을 개선하여 신경 쓰지 않더라도 채권 매입 당시에 지정한 계좌로 입금 될 수 있도록 제도 또한 개선 되었기 때문에 앞으로는 지역개발채권을 안심하고 매입해도 될것 같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